
1. 신경내분비종양의 핵의학 치료(PRRT) 신경내분비종양은 특이적으로 세포 표면에 소마토스타틴이라는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가 많이 존재합니다. 신경내분비종양에 사용되는 핵의학 치료 PRRT는 Peptide Receptor Radionucleotide Therapy의 줄임말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품고 있는 소마토스타틴 형태의 방사성의약품 치료제를 정맥 주사하여 이 치료제가 몸 안에 소마토스타틴 수용체가 있는 신경내분비종양세포를 선택적으로 찾아가서 방사성 치료를 하는 치료법입니다. 즉, PRRT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라는 표적을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루타테라 PRRT는 유럽과 호주에서 20년 전 부터 사용되어왔으나 미국과 아시아권은 안전성 및 투여성 연구가..

1. 전이성 신경내분비종양 분화도가 좋은 신경내분비종양은 전이가 되어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더라도 적절한 치료를 꾸준히 받게되면 치료 성공 가능성이 높으며 삶의 질 향상도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암은 5년 내에 종양 재발이 없으면 완전히 치료되었다고 보는 경우가 많은데, 신경내분비종양은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5년이 되었다고 안심할 것은 안되고 정기적인 내시경, 초음파, CT 검사로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전이 특징 신경내분비종양은 전체 케이스로 보면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다만 일부에서 신경내분비종양의 증상이 거의 없다 보니 꽤 오랫동안 신경내분비종양이 천천히 자란 상황에서 전이가 진행된 후에야 발견 되는 경우로 인하여 신경내분비종양이 전이를 잘하는..

1. 담도암, 담낭암 담도(관) 암이란 담즙이 흘러가는 담도(관)에 생기는 암이고, 담낭암은 담즙이 잠시 머무는 담낭에 생긴 암을 말합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우리가 먹은 지방 음식을 소화 흡수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고, 담도는 간내 담관, 간문부 담관, 간외 담관으로 구성됩니다. 담낭은 담관의 일부로 담낭암은 포괄적으로 담도암에 속합니다. 담도암은 현재 전체 암 중에서 순위 9위로 10대 암에 속합니다. 담도암의 국내 발병률은 2.9%로 매우 낮지만 다른 암에 비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예후면에서 좋습니다. 하지만 담도암은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고 수술 후에도 재발률이 높은 편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장기가 장간막 및 복막으로 쌓여 있어 암이 더디..

1. 신장암의 개요 신장암(신세포암)은 일반적으로 소변을 만들어 내는 세뇨관 세포에서 생기는 암을 말합니다. 신장 세뇨관에 생기는 신장암은 투명 세포암(70~80%)과 비투명 세포암으로 나눕니다. 비투명 세포암은 육종성 신장암 등 여러 신장암 종류가 포함된 개념입니다. 신장암을 투명 세포암과 비투명 세포암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예후와 치료 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투명 세포암은 발생 빈도가 높은 만큼 치료 약제의 개발이 많이 되어 있습니다. 2. 신장암의 위험요인 신장암의 위험요인은 흡연, 비만, 고혈압, 신장 투석, 다양한 신장 독성 화학물질, 유전성 신장암 등입니다. 투석이 위험요인인 이유는 투석을 하면 신세뇨관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신장에 물혹들이 생깁니다. 거기서 신장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

1. 재료 (1) 낫또는 비타민 K2를 만드는 균(Bacillus substilis natto)을 넣어 발효시킨 콩 음식입니다. 낫또가 함유한 중요한 성분은 단백질 및 칼슘 등 미네랄을 포함하여 비타민 K2,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파이토에스트로겐 등 각종 파이토케미컬, 낫또키나제 등입니다. 비타민 K2는 우리 몸의 장내 균주에 의해서 합성되나 그 양은 극히 소량이고, 현대인들의 나쁜 식습관으로 인해 장내 환경이 나빠져서 그나마 만들고 있던 K2를 합성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비타민 K2를 함유한 음식을 통해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비타민 K2의 기능은 다양하지만 특별히 중요한 기능은 골다공증 예방과 항암 효능에 있습니다. 비타민 K2는 비타민 D3가 장으로부터 혈관 ..

1. 재료 1) 당근(베타카로틴)은 동물성 지방을 제외한 토양이 가진 거의 모든 영양소(최소한 600~1,000 가지 이상)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양제를 먹는 것보다 전체 음식의 형태로 당근을 먹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훨씬 더 많이 섭취할 수 있습니다. 당근 속에는 특히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이라는 파이토케미컬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은 당근의 과육보다 껍질에 더 많습니다. 그리고 베타카로틴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생 당근을 먹을 경우에는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이 약 8%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근을 쪄서 먹으면 섬유질이 연화되어 소화가 잘 될 뿐만 아니라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두 배로 올릴 수 있습니다. 이때 물에 끓이기보다는 수증기에 ..

1. 캐슈넛(Cashew or Cashew u=nut) 캐슈넛은 4대 견과류(아몬드, 호두, 헤이즈럿, 캐슈넛) 중 하나로 옻나무과에 속하는 캐슈나무의 씨앗입니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인데 인도와 베트남이 최대 생산지입니다. 견과류는 공통적으로 섬유질, 불포화지방산, 주요 미네랄, 비타민 E, 그리고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캐슈넛의 칼로리는 한 줌 30g 기준으로 169.5kcal로 높은 편입니다. 캐슈넛은 다른 견과류와 마찬가지로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를 개선하고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비타민 E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 효과로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캐슈넛에 함유된 베타카로틴은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합니다. 캐슈넛은 한 줌 당 마그네슘 8..

1. 유제품(Dairy)에 대한 논란 한국인의 75%가 우유를 마시면 설사와 복통을 호소하는 유당불내증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우유 단백질인 카제인에 알레르기가 있어서 만성적인 변비에 시달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은 우유에는 항생제, 성장호르몬, 살충제, 제초제 등 아주 다양한 화학성분이 노출되고 있기 때문에 암 환자나 만성 질환자들은 우유를 마시면 병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우유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의 세 가지 다량 영양소(Macronutrients)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 식품인 유제품이 인간에게 적합한 식품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업적으로 가공된 유제품의 소화율과 잠재적인 영양소 파괴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유기농 목장..

1. 여드름 & 비타민 A 1930년 후반에 피부과 영역에서 여드름 치료를 위해서 고용량 비타민 A 치료가 사용되었습니다. 비타민 A는 피부 상피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각질 생성이 과다한 질병 여드름과 건선 등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여드름은 비타민 A를 매일 300,000 ~ 500,000 IU씩 5~6개월간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여드름 치료하자고 비타민 A를 이렇게 고용량 사용하는 것은 비타민 A 독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여드름은 일단 정제 탄수화물, 정제 설탕, 밀가루 음식, 고지방, 트랜스 지방에 대한 제거 식이요법이 필수이고, 다른 영양소(아연, 비타민 D, E 등)를 함께 사용하면 하루 25,000 IU 이하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습니..

1. 카로틴 피부증 (Carotenosis, carotenoderma, carotenodermia, xanthaemia) 카로틴 피부증(carotenoderma)은 혈액 내 카로틴(carotene)의 증가로 인해 피부 제일 바깥 층(특히 손바닥과 발바닥)이 주황색 혹은 황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카로틴이 함유된 당근, 호박, 시금치, 오렌지 등 과채소를 과량 섭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 고 지질혈증, 당뇨병, 신장염 등 질환에 의한 2차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카로틴 피부증은 피부가 두꺼운 손바닥, 발바닥과 이마, 상안검, 코 주변, 귀 뒤, 턱 등에 가장 호발하고 공막을 덮고 있는 결막은 변색되지 않기 때문에 황달과 쉽게 감별이 됩니다. 카로틴 피부증은 피부색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