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출처 구글이미지 뷰티풀 마인드

1. 뷰티풀 마인드(2001) 영화 줄거리

조현병임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묵묵히 학자로서의 본분을 다한 존 내시(1928-2015)의 일화를 다루고 있는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소개합니다. 이 영화는 제74회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 각색상, 감독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단짝 친구 하나 없이 고독한 어린 시절을 보낸 존은 프린스턴 대학교에 장학생으로 입학합니다. 사회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존에게 찰스라는 룸메이트가 나타납니다. 존은 찰스가 마음에 듭니다. 존의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원하는 것이 하나 있다면 세상을 뒤엎을 만큼의 놀라운 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과 이를 통한 세상의 인정입니다.  그래서 존에게는 항상 창조적인 생각을 유지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고, 이것이 그로 하여금 수업을 거부하고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단절하도록 하였습니다.

 

존은 자신이 원하는 기관에 들어가기 위해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이론을 만들고자 몇 날 며칠 밤을 새워나가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존은 맥줏집에서 번뜩 무언가를 깨달았습니다. 150년간 경제학계의 정설이라 불리는 '애덤스 이론'을 반박하며 존은 마침내 새로운 이론인 '내시균형이론'을 창조해냅니다. 덕분에 존은 그토록 원하던 윌러 국방연구소에서 근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숫자에 천재적인 감각을 보이는 존은 컴퓨터도 풀지 못한 소련의 암호를 풀어내버립니다. 이곳에서 존의 눈앞에 한 남성이 보입니다. 실력을 인정받은 존은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를 역임하게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존은 자신의 강의를 듣던 엘리샤를 만나고, 연구소에서 소련의 암호를 풀던 날 보았던 한 남자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그 남자는 존에게 국방부의 비밀업무를 맡아 달라고 하였고 존은 신문 속에 있는 암호를 해독하는 비밀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행복할 것 같은 신혼 초기였지만 존 내쉬는 불안에 뜰고 있습니다. 수상한 자들이 자신을 미행하고 감시하고 있다는 불안감이 엄습하여 정신적으로 점점 피폐해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내시가 하버드 대학교로 강연을 하게 되는데 그곳에서도 자신을 감시하고 있는 수상한 남자들을 보게 됩니다. 존은 강의 중에 뛰쳐나갔으나 수상한 사람들에게 잡혀버립니다. 이 수상한 사람들은 존의 상태가 걱정되어 엘리샤가 의뢰한 정신병원에서 나온 사람들이었습니다. 이어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집니다. 존 내시는 조현병을 앓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존은 이를 부정하였습니다. 이런 존을 아내 엘리샤는 존 곁을 떠나지 않고 살뜰히 보살펴줍니다. 존은 꾸준히 약물치료를 하는 덕분에 조현병 증상은 완화되었지만, 성욕감퇴와 수학 능력이 떨어짐을 느끼면서 약을 끊게 됩니다. 결국 병이 재발하고 환각으로 아내까지 죽이려 하였습니다. 존은 결국 소녀 마시가 몇 년간  성장하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고 자신이 조현병 증상을 겪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룸메이트 찰스, 찰스의 조카 마시, 비밀업무를 맡겼던 피처 모두 내시가 만들어 낸 허상의 인물이었던 것입니다. 또한 암호해독이라든지 우편함이라든지 이 모든 것들도 진짜가 아니고 내시의 조현병에서 나타난 과대망상이었습니다. 그 후 존은 엘리샤의 도움을 받아 병을 극복하기 위해 치료를 받았고, 기존 경제학이 해내지 못했던 인간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여 노벨 경제학상까지 받았습니다.  2015년 라벨상을 수상하고 돌아오던 중 존은 아내 엘리샤와 함께 교통사고로 사망합니다.

2. 조현병의 증상과 발병이론

조현병은 망상, 환각, 비논리적인 사고, 와해된 언어와 기괴한 행동 등의 증상을 보인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성인 인구의 약 1%에서 이 병에 걸리고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 시기가 조금 빠르고 발병률도 높습니다.  이 병에 걸리게 되면 개인의 역할을 해내지 못하므로 점점 사회와 단절이 됩니다. 충동적으로 참을 수 없는 이상행동을 하고, 명확한 사고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목소리, 표정으로 정서를 지각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환자는 스스로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조현병 발병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 중에서 취약성 스트레스 모델을 설명하겠습니다. 이는 조현병이 유전적 소인과 가족갈등, 아동학대, 정서 박탈, 지지적인 인물의 상실, 생애 초기의 뇌 이상 등 환경적 스트레스들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입장을 취합니다. 영화에서 존은 학문적 결과물이 없어 자신을 추천해 줄 수 없다는 교수의 이야기를 듣고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장면이 나옵니다. 실제로 존이 1958년 30세의 젊은 나이로 필즈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을 하지 못한 무렵부터 불안정한 정신 상태를 보였고 1959년 조현병 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후 존은 MIT 교수직에서도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 존의 마음속에 있는 결핍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외로움이라는 결핍입니다. 존은 자신과 대화할 수 있는 친구를 원했지만 현실에서는 찾을 수가 없어 스스로 찰스라는 허상을 만들어 결핍을 해소합니다. 둘째는 누군가로부터의 인정입니다. 위대한 이론을 만들어내어 세상의 인정을 받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더 국가적으로 핵심적인 인물이 되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이 욕망은 스스로 천재 수학자이고 소련의 비밀 암호를 풀 수 있는 국가의 중요한 인물이라는 자기암시를 만들어 피처라는 허상을 만들어 결핍을 해소합니다. 이렇듯 존의 무의식 속에서 눌려진 것들이 망상과 환각으로 살아났습니다.  그는 자신의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여러 성취를 위해 환상의 인물들을 만들어 냈던 것입니다. 

3. 조현병의 약물치료와 가족의 중요성

일반적으로 조현병 치료는 약물치료, 심리치료, 재활치료를 통합하여 다차원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족들의 영향력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료법으로 이 중에서 단 한 가지만 선택을 해야 한다면 그것은 약물치료입니다. 우선적으로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된 후에 인지적 접근과 심층상담으로 효과 볼 수 있습니다. 존은 약물 복용을 통해 확실히 조현병의 증상이 줄어들었습니다. 약물이 증상을 줄여주는데 효과적인 것은 맞지만 무엇보다도 존의 선택을 존중하고 끝까지 믿어주며 지지해 준 그의 아내와 주변 친구들이 존의 조현병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