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호르몬 감수성 암 - 발생 기전

에프엠38 2022. 4. 14. 09:34
반응형

1. 호르몬 - 감수성 암(Sex Hormnes-Sensitive Cancer)

호르몬 감수성 암에는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이 있습니다. 여기서 암을 일으키는 호르몬은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입니다. 기능의학적 측면에서 호르몬 감수성 암은 치료가 거의 비슷합니다. 호르몬 감수성 암을 치료하려면 '호르몬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2. 성호르몬이 암을 일으키는 기전

생식기 암은 체내 순환성 성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호르몬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A, ER-B) 또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와 결합 후 많은 특성 신호 경로를 활성화시킵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PR+)인 경우 내분비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에스트로겐 2(E2)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조직 성장을 촉진하고 암세포의 전이 가능성을 촉진합니다. 한편 프로게스테론은 유방암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작용을 조절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출처 구글 에스트로겐은 성장을 촉진하고 프로게스테론은 성장을 약화시킵니다.

 

전립선암과 에스트로겐

전립선암에서 안드로겐이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기전은 불분명합니다. 동물 연구에서 안드로겐이 전립선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에스트로겐과 그 대사물이 함께 작용되야 암이 발생한다고 제안합니다. 아마 에스트로겐이 전립선암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요인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전립선암도 항에스트로겐 치료를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3. 에스트로겐 수용체 신호 경로가 암을 일으키는 기전

아래 그림은 a) 에스트로겐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붙어서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암을 일으키는 ligand dependant activation, b) 세포막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RTKs)인 EGFR, ERBB2, IGFR에 성장인자들이 붙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암을 일으키는 ligand independent activation, c) 세포 내 다른 전사 인자를 활성화시켜 암을 일으키는 non-genomic mechanism을 설명합니다.

출처 구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신호 전달 경로

 

4. 에스트로겐 대사물이 암을 일으키는 기전

유방암에서는 에스트로겐만 암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고 에스트로겐 대사물질도 암을 일으킵니다. 에스트로겐 대사물질 중 2OHE1/2는 암을 예방하고, 4 OHE1/2, 16 OHE1/2은 암을 일으킵니다. 특히 4 OHE1/2가 암을 더 많이 일으킵니다. 유방암을 일으키는 대사물질이 기능의학적 검사로 확인이 되면 그 대사물질을 바꾸는 치료법들이 있습니다. 치료는 글루타티온, 비타민 B 군, 십자화과 채소 섭취, 요오드 복용, 혈당조절, 환경호르몬 해독 등이 있습니다. 호르몬 감수성 암을 치료할 경우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만 보지 말고 에스트로겐 대사물질도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5.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종류와 역할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A),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B) 두 가지가 있습니다. ER-A는 유방 세포 분열, 성장을 촉진시키고, ER-B는 유방세포의 항 증식 기능이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각 장기마다 분포가 다릅니다. ER-A는 주로 자궁, 간, 신장, 심장에, ER-B는 주로 난소, 전립선, 방광, 폐, 위장관, 조혈 시스템, 중심 신경계에 분포하나, ER-A와 ER-B가 동시에 분포하는 유선, 부고환, 갑상선, 부신, 뼈, 뇌의 일부분도 있습니다. 유방은 ER-A, ER-B 모두 있고, 주로 ER-A가 유방의 발달과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유방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전립선암, 대장암에서 ER-B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됩니다. 파이토 에스트로겐(제니스테인, 다이제인)은 ER-B에 친화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활성에 아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6.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상대적 결합 친화성

대학병원에서 유방암 환자교육시 파이토에스트로겐도 에스트로겐이기 때문에 콩, 석류 등을 먹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래 표를 보면 이스플라본 계열 파이토케미컬(제니스테인, 다이제인 등)은 ER-B에 친화성이 더 높아서 암 증식을 막아주는 역할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간드
(수용체 결합 물질)
ER-A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ER-B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제니스테인(Genistein) 4 87
다이제인(Daidzein) 0.1 0.5
타목시펜(Tamoxifen) 4 3
랄록시펜(Raloxifene) 69 16
17-beta E2 100 100
2OHE2 2 0.2
E3 14 21
E1 60 37
4OHE2 13 7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