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전체혈구계산(CBC, Complete Blood Count)
CBC 검사란 혈액 안에 있는 적혈구(RBC), 백혈구(WBC), 혈소판(Platelet)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혈액검사 중에 하나입니다. 주로 자동화 분석 기계를 사용하여 검사를 하게 되며, 검사실마다 혹은 검사 기계마다 정상범위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Functional Medicine University에서 정하는 백혈구의 정상범위(단위 thous/mcl)는 3.8-10.8, 최적 범위는 5.0-8.0이고, 적혈구의 정상범위(mill/mcl)는 3.8-5.1 , 최적 범위는 남성 4.1-5.6, 여성 3.9-4.5이며, 혈소판의 정상범위(단위 thous/mcl)는 140-400 , 최적범위는 140-400입니다.
2. 백혈구 감별계산(WBC differential count)
백혈구수(WBC count)는 단위 혈액 1 mcl 당 존재하는 백혈구의 수를 말하고, 정상 수치는 3,500-11,000/mcl입니다. 백혈구 증가증은 12,000/mcl 초과, 백혈구 감소증은 3,500/mcl 미만으로 정의됩니다. 백혈구는 정상적인 말초혈액 속에 서로 종류가 다른 세포들(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림프구, 단핵구)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들 백혈구 각각의 수치를 파악한 것이 백혈구 감별 계산(WBC differential count)이라고 하고, 요즘에는 백분율로 나타내지 않고 절대치로 감별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백분율(%)로 판독하면 질병으로 나오는데 절대치로 판독하면 질병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비정상 백혈구 감별계산의 원인
백혈구의 참고 수치(Reference Range)는 3,500-11,000/mcl이고, 백혈구의 수가 12,000개 초과이면 백혈구 증가증, 3,500개 미만이면 백혈구 감소증이라고 합니다. 호중구(neutrophil)의 참고 수치는 2,000-7,500/mcl이고, 호중구 절대치가 8,000개를 넘어가면 호중구 증가증, 1,500개 미만이면 호중구 감소증이라고 합니다. 호중구 증가증(neutrophilia)의 원인으로는 주로 세균성 감염,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스테로이드 투약 등이 원인이고,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부신기능 부전 등이 있습니다.
3. 호중구 증가증(neutrophilia) & 림프구 감소증(lymphocytopenia)
호중구의 절대 수치(ANC, Absolute neutrophil)는 1,500-8,000/mcl이고, 림프구의 절대 수치(ALC, Absolute lymphocyte)는 1,000-3,500/mcl입니다. 호중구 증가증(neutrophilia)은 호중구수가 8,000/mcl 이상을, 림프구 감소증은 림프구수가 1,000/mcl 미만일 때로 정의합니다. 호중구성 백혈구 증가증(neutrophilic leukocytosis)은 감염(주로 세균성, 미성숙 백혈구일수록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의미), 어떠한 형태의 스트레스와 과도한 육체적 운동(고 코티졸 타입), 스테로이드 투약 등 3가지 조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납니다. 백혈구수는 정상인데 호중구 증가증과 림프구 감소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감염(주로 바이러스성), 스트레스, 스테로이드 투약으로 호중구 성 백혈구 증가증과 원인이 비슷합니다.
Nutrophilic leukocytosis (ANC > 8,000) |
Normal WBC, nutrophilia & lymphcytopenia (WBC WNL, ANC > 8,000, ALC < 1,000) |
감염(주로 세균성) ; if very immature WBCs -> serious bacterial infection |
감염(주로 바이러스성) ; either bacterial or viral infection |
any stress & heavy exercise | physical & mental stress ; stress leukocytosis |
receving steroids |
medications : steroids |
호중구 증가증 & 림프구 감소증: 감별 진단
혈액검사의 결과가 만성적으로 지속되고, 임상적으로 감염이 의심되면 혈액도말검사(blood smear)를 시행하도록 합니다. 혈액도말검사에서 band form이 많을수록 급성 세균성 감염을 의미합니다. 백혈구 증가증은 없는데 band form이 증가할 경우는 패혈증 가능성이 있으며 예후가 불량하고, 백혈구 증가증은 있는데 band form이 증가하는 경우는 세균성 감염으로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호중구 증가증이 있으면서 band form이 거의 없으면 약물, 암, 알레르기, 출혈, 거대 적아구성 빈혈을 감별 진단해야 하고, band form이 없이 hypersegmentatio이 있는 경우는 악성빈혈, 만성적인 모르핀 중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4.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과 림프구 증가증(Lymphocytosis)
호중구 절대수치(ANC, cells per mcl of blood)의 정상 범위는 1,500-8,000, 경미한 호중구 감소증은 호중구수 1,000-1,500, 중등도 호중구 감소증은 500-1,000, 심한 호중구 감소증은 500 미만으로 정의합니다. 림프구 절대수치(ALC, cells per mcl of blood)의 정상범위는 1,000-4,000이고, 림프구 증가증은 림프구수가 4,000 이상입니다. 호중구 감소증과 림프구 증가증은 두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고, 한 가지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호중구 감소증 & 림프구 증가증 : 원인
몇가지 바이러스 감염(유행성 이하선염-mumps, 홍역, 인플루엔자, 간염, 감염성 단핵구증)에서는 경미한 호중구 감소증과 림프구 증가증이 흔히 나타납니다. 펠티 증후군(류머티즘 관절염과 흔히 동반)과 SLE는 염증반응이 주요 특징으로 LGL의 수가 증가하고, 이러한 세포들은 골수를 침범하거나 백혈구의 생산을 억제합니다. 그 외 부신기능 부전증(low cortisol type adrenal insufficiency)과 림프구 증식 질환에서도 나타납니다.
5. NLR(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NLR은 말초혈액내 호중구대 림프구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참고 수치는 0.78-3.53, 최적 수치는 1-2입니다. 면역 관점에서 호중구는 선천성 면역을 반영하고, 림프구는 획득 면역을 반영하므로 NLR이 높으면 선천성 면역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NLR이 낮으면 획득 면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점에서 NLR이 높은 것은 High cortisol type으로, NLR이 낮은 것은 Low cortisol type으로 해석합니다.
Covid-19 폐렴 관리 과정
호중구 대 림프구 비율은 초기 단계에서 코로나바이러스-19 질환이 있는 중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호중구는 심각한 감염이나 신체에 대한 스트레스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면 낮은 수준의 림프구는 또한 심각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코비스 19 사망자는 생존자에 비해 NLR이 높았으며, 중위 NLR은 2.33대 1.99였습니다. NLR은 코비드-19 중환자의 독립 위험인자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질병과 보고된 NLR 컷 오프 값
면역체계의 항상성을 깃발로서 호중구 대 림프구의 비율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확립되어 있습니다. 몇 가지 질병(패혈증, 폐렴, 코로나-19 감염증, 암 등)은 NLR의 컷 오프 예후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의 경우에서 NLR이 5 이상이면 암 전이와 사망률이 높아지며, 패혈증에서는 NLR이 13을 넘어가면 패혈증, 15을 넘어가면 패혈증성 쇼크를 나타냅니다. 만약 패혈증성 쇼크로 추정되는 환자가 혈액검사상 NLR이 5 미만으로 낮게 나온다면 adrenal insufficiency에 의한 쇼크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NLR의 컷 오프 값은 상황과 질병에 따라 다릅니다. NLR 값의 교란 요인으로는 나이, 비만, 스테로이드 복용, 내인성 성호르몬, 활동성 혈액질환, HIV, 급성 심근 경색증, 뇌졸중, 폐색전, 제2형 당뇨병, 급성 외상, 암, 정신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기능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lated abnormal LFT - ALT (0) | 2022.06.18 |
---|---|
CBC 분석- 혈소판 (0) | 2022.06.18 |
CBC 분석 - 헤모글리빈 (0) | 2022.06.17 |
철의 역할 & 혈청 철 바이오마커(2) (0) | 2022.06.02 |
철 & 철분 대사(1)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