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적 위치 난소는 자궁 옆 그리고 나팔관인 난관 끝에 아몬드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골반 안에서 둥둥 떠다니는 여성 생식기입니다. 난소가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배란과 여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난소 주변 장기로는 자궁, 나팔관, 방광, 직장, 방광, 그리고 난소를 포함한 복강 안 내장을 둘러싸고 있는 복막이 있습니다. 난소암이란 일반적으로 난소, 난관, 복막에 생기는 암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난소암은 3대 부인암인 유방암, 난소암, 자궁암에서 제일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소리 없는 살인자라고도 표현되고 있습니다. 난소암은 최근 20년 사이에 유병률이 10배 이상 늘었는데 이는 난소암의 장기 생존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난소는 어떤 장기의 체세포로라든지 분화할 수..
멜라토닌의 역사 1917년 카레이 맥코드와 프로이드 알렌은 올챙이가 헤엄치고 있는 물속에 소송과체를 으깨어 넣으면 올챙이의 피부색이 밝아짐을 확인했습니다. 1958년 예일 대학교 애런 러너 박사는 소송과체에서 추출물을 분리하고 멜라토닌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이 물질이 양서류의 멜라닌 세포와 반응하여 피부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했기 때문에 이름을 그렇게 선택하였습니다. 1959년 아셀로드는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관심으로 송과체를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아셀로드는 쥐 송과체를 사용하여 멜라토닌이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으로부터 전환되어 생성된 화학물질이고, 신경 말단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함께 저장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 호르몬임을 알아냈습니다. 1964년 아셀로드는 솔로몬 스나이더와 함께 쥐 송과체로부터 생산되..
위암의 증상과 진단 위암은 동아시아에서 특히 많은 암으로 1위인 갑상선 암에 이어, 우리나라 암 발병률 2위입니다. 위암의 원인은 헬리코박터균 감염, 잘못된 식습관, 예를 들어, 가공 음식, 탄 음식, 짠 음식 등의 섭취 및 흡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위암의 증상은 초기에는 거의 무증상이고,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서야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소화불량, 구역질, 구토, 체중 감소, 림프절이 만져지는 증상과 흑색 변, 피로감, 무기력, 어지럼증, 숨참 증상 등 만성 빈혈과 관련된 증상, 소화불량, 위궤양으로 인한 위장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예진하기 어렵고, 따라서 위암은 조기 진단을 위해 위내시경을 통한 정기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위암은 조..
전립선암의 개요 전립선암은 최근 갑작스럽게 증가 추세에 있는 전립선에 발생하는 암으로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90 퍼센트 이상입니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 위치하고 있으며 요도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호두 알 크기의 남성 생식기를 말합니다. 전립선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지배를 받아 활동하는 장기이기 때문에 치료에도 호르몬과 관련된 것들이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위험인자로는 대사성 증후군인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비만 등과 고령과 관련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초기 증상은 전립선 비대증과 증상이 비슷하여 초기 감별이 쉽지 않습니다. 전립선암 증상의 증상은 전립선이 요도를 감싸고 있는 장기이다 보니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고, 심하면 요도가 막히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립선암이 발견 ..